loading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빈집애 바로가기 이용방법

반응형

정부는 한국부동산원과 협력하여 전국의 빈집 현황을 보다 쉽게 확인하고 활용 방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3월 12일(수)부터 '빈집애(愛) 누리집을 새롭게 개편해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빈집애 웹사이트 바로가기

 

이번 개편은 기존에 빈집 실태조사 정보를 제공하던 소규모&빈집정보알림e에서 빈집 관련 기능을 분리하여

이루어졌으며, 새롭게 개설된 누리집에서는 전국 빈집 현황을 지도 형태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 실적, 활용 사례 및 관련 정책 자료 등도 함께 제공될 예정입니다.

 

빈집애 바로가기

 

빈집애 바로가기

 

 

 

빈집애 홈페이지 바로가기

 

빈집애 바로가기

 

‘빈집애(愛)’ 누리집은 전국의 빈집 현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각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한

빈집 정비 실적을 용도별로 구분하여 공개하며, 공원·주차장·편의시설 등으로 활용된 사례도 상세히

안내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빈집 정비 전후의 사진을 비롯해 주요 사업 성과를 소개하고, 실제 활용 사례를 통해 빈집이

어떻게 재탄생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빈집 관련 정책과 법적 근거, 정비계획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되어 빈집 활용을 고려하는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빈집애 바로가기빈집애 바로가기빈집애 바로가기

 

빈집애 이용 방법

 

 

 

정부는 국민이 빈집 정보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2024년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한 빈집 현황조사

결과를 지도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각 지역의 빈집 분포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한 빈집 정비 실적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공개하며, 공원·주차장·편의시설 등으로

활용된 사례를 상세히 안내합니다. 여기에 빈집 정비 전후의 모습, 사업 진행 위치, 주요 성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사례도 함께 제공하여, 빈집 재정비를 고려하는 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뿐만 아니라

국민이 빈집 정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법적 근거, 정비사업 개요, 추진 계획 등 주요 정책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안내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는 민간의 빈집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빈집 거래지원 서비스’ 개발도 검토 중입니다. 해당 서비스가

도입되면, 빈집 소유자가 지자체를 통해 매매·임대 의사를 등록하면 누리집에 해당 빈집 목록이 공개되며,

수요자는 이를 열람하고 적절한 매물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범부처 빈집TF(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는 한국부동산원과

협력하여 빈집 현황을 분석하고, 발생·확산 예측 및 사후 활용 방안을 제공하는 새로운 분석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이 서비스는 빈집 실태조사 결과와 인구감소지역 현황을 비롯해 행정통계 정보(사망률, 주택

노후도 등)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빈집 발생 및 확산을 예측합니다. 또한, 생활 인프라·생활인구 정보 등

외부 데이터와 결합하여 빈집의 입지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빈집애 바로가기빈집애 바로가기빈집애 바로가기

 


 

정부 관계자는 빈집애(愛) 누리집’을 통해 국민 누구나 전국에 분포한 빈집 정보를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빈집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

이라며, 이번 개편된 누리집이 정부의 빈집 정비 및 활용 정책을 국민들에게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운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빈집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보다 효율적인

빈집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개선을 이어갈 방침입니다.